제2조(정의) '진로 및 직업교육'이란 특수교육대상자의 학교에서 사회 등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관련 기관의 협력을 통하여 직업 재활 훈련·자립 생활 훈련 등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제23조(진로 및 직업교육의 지원) 1 중학교 과정 이상의 각급 학교의 장은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성 및 요구에 따른 진로 및 직업교육을 지원하기 위하여 직업평가 · 직업교육 · 고용지원·사후관 리 등의 직업 재활 훈련 및 일상생활 적응훈련 ·사회적응훈련 등의 자립생활훈 편을 실시하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격이 있는 진로 및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전문인력을 두어야 한다. 2 중학교 과정 이상의 각급 학교의 장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진로 및 직업교육의 시행에 필요한 시설·설비를 마련하여야 한다. 3 특수교육지원센터는 특수교육대상자에게 효과적인 진로 및 직업교육을 지원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련 기관과의 협의체를 구성하여야 한다.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조, 제23조 전환이라는 의미 속에는 변화가 내포되어 있다. 장애 학생은 학교 교육과 학교 이후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끊임없는 변화와 새로운 역할을 경험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전환 교육은 단지 직업기술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 학생이 졸업 이후 성인 생활을 보다 만족스럽게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학령기에서부터 독립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 여가생활을 포함한 전반적인 분야의 기능과 기술을 배우는 것이다(이 유훈, 김 형일, 2002). 따라서 장애 학생에게 의미 있는 전환이 되기 위해서는 총체적인 교육 및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학교뿐만 아니라 가족, 관련 기관, 지역사회의 참여 및 협동이 연관되어야 할 것이다(Halpern, 1994; Sitlington & Clark, 2006). 2. 전환 교육의 모델 전환 교육이 시작된 이래로 많은 전환 모델이 제시됐다. 1980년대 이후 전환 교육 모델은 고용이나 취업에 초점을 둔 협의의 모델과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둔 포괄적인 광의의 모델로 크게 나뉜다. Will의 교량 모델과 Lehman의 지역사회 중심 직업훈련 모델은 협의의 모델이며, Halpern의 지역사회 적응 모델, Bro lin의 생활중심 진로 교육 모델, Clark의 종합적 전환 교육 및 서비스 모형 등은 광의적인 의미의 모델에 포함된다. 1) Will의 교량 모델 미국 특수교육 및 재활서비스국(OSERS)의 책임자인 Will은 전환 교육 서비스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1983년 PL 98-199에 의해 OSERS는 전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세 가지 가정으로, 1 적절한 지역사회의 기회와 서비스 협력이 개인적 환경과 욕구에 부합되도록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 2 전환 교육 프로그램은 장애 학생에게 초점을 두어야 하는 다는 것, 3 전환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지속적이어야 한다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세 가지 전환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 일반적 서비스(no-special service): 특별한 전환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은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주로 경도 장애 학생들이 해당한다. 그들은 지역사회에서 비 장애인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일반적인 직업 서비스를 통하여 직업 적응이 가능한 경우다. • 시간 제한적 서비스(time-lintted service): 장애 학생이 직업 재활 기관이나 성인 서비스 기관에서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의 일반 직업에 적응하도록 특별하게 만든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한된 시간 동안 제공하는 경우다. • 지속적 서비스(on-going service): 주로 중도장애인들이 직업 적응을 할 수 있도록 계획된 계속된 직업 재활 서비스를 받는 경우다. 2) Lehman 등의 지역사회 중심 직업훈련 모델 Lehman 등은 특수교육 프로그램을 기능적 교육과정, 통합적 학교환경, 지역사회 중 심 서비스, 부모, 학생의 의견 및 기관 간 협력이 포함된 개별화 전환프로그램계획(ITP) 수립, 경쟁 고용, 지원 고용, 분리된 보호작업장 배치와 같은 직업 결과를 산출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김문섭 외, 2011). 하지만 이 모델은 Will의 모델과 같이 전환과정을 중등학교에서 성인기 취업으로의 전환에만 강조점을 두고 있고, 학생의 의사결정이나 통제에 대한 강조가 미흡하며, 직업 서비스에 초점이 국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박영근, 2010). 3) Halpern의 지역사회 적응 모델 Halpern은 전환 교육의 주요 결과는 고용이라는 Will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고, 성인 생활에 원만하게 적응하기 위해서는 비직업적 차원도 고용이라는 궁극적 목적에 의미 있게 이바지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성공적인 지역사회 적응을 위해서 비직업적 차원으로 주거환경의 질과 적절한 사회·대인관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교량 모델이 연결 자체에만 중점을 두었다면, Halpern의 모델은 진로 교육 접근에 좀 더 비중을 두고 있다.
'장애아동과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의 법적 규정 (0) | 2021.04.14 |
---|---|
통합교육의 교수 전략 (0) | 2021.04.14 |
통합교육의 주요 과제 (0) | 2021.04.14 |
전환교육의 개념 (0) | 2021.04.14 |
자기 결정의 개념 및 요소 (0) | 2021.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