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5) 썸네일형 리스트형 석축의 디자인과 구조적 개념 갑석의 처리는 석축 디자인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장대석 기단에서는 주요 정전 건물을 제외하면 특별히 구분하지 않지만, 서구식 기단에서는 갑석이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취급된다. 성곽 같은 큰 구조물에서는 미 석 石(눈썹 돌: 성벽 위쪽에 설치되어 빗물이 성벽을 타고 흐르지 않고 바로 떨어지게끔 처마 구실을 하는 눈썹 모양의 돌)을 설치하는 예가 많은데, 이런 매석도 석축에서 일종의 갑석 구실을 한다. 석 石(눈썹 돌: 성벽 위쪽에 설치되어 빗물이 성벽을 타고 흐르지 않고 바로 떨어지게끔 처마 구실을 하는 눈썹 모양의 돌)을 설치하는 예가 많은데, 이런 매석도 석축에서 일종의 갑석 구실을 한다. 면 지대 석 열 石 列이 가지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초가 내려앉으면서 석축이 무너지는 예는 별로 없.. 구고현법(피타고라스의 정리) 를 활용한 한옥 설계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따라 직각삼각형의 길이를 확인하면 되는데, 같은 뜻이라도 '피타고라스의 정리' 보다는 '구고현법’ 句股絃法이라는 말이 한옥 짓는 사람에게는 더 잘 어울리는 것 같다. 가장 일반적이고 쓰기 쉬운 구고현 비례는 3:4:5다. 직각으로 띄워 놓은 실의 각 변 3m, Ann 위치에 표시하고 그 빗변이 5m가 맞는지를 확인한다. 집이 커서 좀 더 정확하게 확인하고 싶다면 6m, 8m 위치에 표시를 하고 그 빗변이 10m가 맞는지 확인하면 된다. 초석 설치는 돌을 다루는 일이기 때문에 석공이 하기도 하지만 목수가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초석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미리 마름질해둔 부재들을 짜기 때문에 치수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대부분의 설계사무소에 서는 1자(30.3cm)를 30cm로 가정하고.. 기초공사와 초석 주변 마감과의 관계 초석의 모양은 주변의 마감과도 밀접한 관계에 있다. 초석을 계획하는 시점은 공사의 초반부이고 마감은 공사의 마지막이기 때문에, 마감을 충분히 검토해서 초석을 계획한다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우선 초석은 고막이 처리 방식에 따라 모양이 달라질 수 있다. 고막 이를 화강석으로 처리할 때, 고막 이를 고려해서 초석에도 고막 이를 붙이는 '고막이 초석’으로 만드는 것이다(94쪽 사진 1), 고막이 초석을 만들더라도 화방벽 火 防壁이 있으면 고막이 붙은 초석의 고막이 위치와 크기도 달라져야 한다(94쪽 사진 2). 연경당 장양문의 초석(94쪽 사진 3)을 보면 주변의 화방벽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초석을 크게 만들고, 그래서 기둥이 초석의 한 가운데에 설치되지 않은 예도 볼 수.. 주문과 제작도 일반적으로 다락처럼 높게 만든 누마루가 조성되는 곳에 사용되는, 석주 石柱에 가까운 초석을 장초석이라 구분한다. 장초석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경회루 초석일 것이다. 이쯤 되면 그냥 돌기둥이라고 불러도 상관없을 정도다. 장초석은 사각형과 팔각형이 있으며, 흘림을 두어 안정감이 들도록 한다. 초석의 계획과 주문 초석을 계획하는 데는 검토해야 할 사항이 있다. 초석은 기둥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대체적인 모양이 결정된다. 초석의 밑바닥 넓이는 곧 집의 하중을 땅으로 분산하는 면적이기 때문에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앞서 말했듯이 초석의 높이는 방바닥 높이와 관련이 있고, 그 외에 주변 상황에 따라 초석의 모양은 민감하게 변한다. 초석의 높이와 윗면과 아랫면의 모 양과 면적, 주변 마감과의 관계 그리고 주문과 제.. 초석의 종류 두 초석을 자세히 보면, 주자 가히 고 없고의 차이를 빼면 거의 같은 모양이다. 원형 초석으로 분류되는 것 중에는 사발을 엎어놓은 모양의 초석도 있고(동구릉 초석), 원통형으로 생긴 조석(강릉 칠사당 초석)도 있다. 칠사당 초석과 법천사지 초석은 원형 초석으로 분류되는 반면, 수덕사 초석은 방형 초석으로 분류된다. 원형 초석이라는 분류가 너무 포괄적이고 불명확한 이유는 가공 초석을 형태별로 분류할 때 중요한 사항을 간과했기 때문이다. 초석을 분류할 때 중요한 것은 좌식생활을 위한 높은 바닥인지 입식 생활을 위한 낮은 바닥인지 아닌지다. 고려 시대에 지어진 집에는 낮은 초석이 사용되었다. 그 이유는 실내 바닥의 마감과 관계가 있다. 낮은 초 석이 사용되던 당시에는 한옥에 온돌과 마루가 충분히 장착하지 않았.. 수좌와 방형초석 수좌를 만들면 습기는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지만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79쪽 5·6번 사진은 국립공주박물관에서 촬영한 것으로 네모난 초석에 수좌를 만든 예이다. 오래된 초석이지만 윗면을 도도록하게 만들어서 물 빠짐이 좋게끔 했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네모난 초석에는 수좌를 만들지 않게 되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나 무기 둥 경우는, 목재의 성질과 건조상태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기둥이 마르면서 변형이 생긴다. 현장의 목수들은 이 현상을 '기둥이 돈다'고 한다. 원형 기둥은 좀 돌아가도 눈에 잘 안 띄지만, 위의 사진처럼 네모난 기둥을 세우면서 초석 윗면에 수좌를 만들면 기둥의 변형이 잘 보인다. 그 때문에, 언제부터인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엔지니어들은 오래전부터 네모난 기둥을 받치는 초석.. 장애의 진단과 교육진단 진단 장애를 진단하는 것은 선별을 통해서 좀 더 구체적이고 정확한 진단을 해야 하는 대상 영유아에게 장애의 종류와 상태, 발달이 지체된 정도를 정확하게 판별하여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를 결정하는 단계다. (1) 장애진단 과정 및 내용 장에 진단 과정에 필요한 정보수집 내용은 다음과 같다(Cross, 1977: 이소현, 2008 : 193 재인용), • 부모나 주 양육자와의 면담: 유아의 행동과 가정환경 정보 수집 • 임신 기간부터의 생육사, 병력에 관한 정보 수집 • 특정한 환경에서의 유아 행동 관찰: 사회성, 의사소통 기술 등 일반적 능력에 대한 정보 수집 · 표준화 검사: 지능검사, 사회성 검사, 발달검사 등 각종 능력 검사 Kirk 등(2004)은 미국에서의 평가를 소개하면서 대부분 유아는 교육적인 ..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 내용 교육지원 1) 우리나라 유아 특수교육 내용 발달기는 인간에게 있어 성장·발달의 최적기다. 이러한 시기에 있는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위해서는 발달기에 가장 적합한 교육과정 내용이 가장 풍부하게 그리고 다양할 게 제공되어야 한다(김성애, 2007), 그 교육과정은 다름 아닌 일반교육과정이다. 독일의 통합교육 연구자인 Heuser(1982) 역시 장애가 있는 유아의 교육 내용은 일반교육과정이라고 단정하는데, 그가 그렇게 말하는 이유는 그것만이 유아기의 발달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이며, 그러한 교육적 제공이 부족할 때 '장애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뿐 아니라, 이 연령대의 특수교육대상자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이 인지적 발달과정으로 국한되어서는 인지에 제한성을 가진 발달지체 영유아의 교육과정이 축소될 가능.. 이전 1 2 3 4 5 6 다음